그녀는 삼수를 해서 대학에 들어왔다는 사실에 핸디캡을 가지고 있었다. 처음에는 원하던 대학교를 못가서 재수를 했다. 그런데 다음 해에도 성적이 좋지 못했다. 결국 2년제 대학에 들어가게 되었는데 막상 다니다 보니 2년제라는 게 싫었다.
공교롭게도 그 대학은 4년제 대학교와 붙어 있는 학교였다. 학교에 갈 때마다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 입구를 가르는 갈림길에서 “너는 2년제구나”라고 손가락질을 받는 것 같았다. 그래서 그녀는 휴학을 하고 삼수를 준비했다. 원했던 대학교는 떨어졌다. 하지만 그나마 지방에 있는 한 4년제 대학교에 다행히 합격했다.
그런데 원하던 4년제 대학에 들어갔는데도 다시 고민이 들었다. ‘친구들은 수도권 대학에 다니는데 너 혼자 지방대’라는 눈초리를 받고 있는 기분이 들었다. 원했던 전공도 아니었고, 왕복 4시간이나 걸리는 통학 시간도 너무 힘들었다. 게다가 집안에서도 등록금만 나간다고 눈치를 주는 것 같아서 다 때려치우고 간호 학원을 다니면서 간호사가 될까 고민하던 중에 나를 찾아온 것이다.
상담 시간이 짧아 그녀에게 잘못이 있다는 것을 콕 집어 주지 못했다. 그녀 자신도 본인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듯해 안타까웠다. 지금 수준으로는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없는 상황임에도 계속 지난 시간을 후회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어떻게 비춰질까만 신경 쓰고 있는 것이 문제였다. 정작 돌아봐야 하는 건 자신인데도 불만족스러운 외부 상황에만 신경 쓰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나삼순 양처럼 자기 인생, 특히 현재를 불만족스럽게 여기며 과거의 후회로만 살아가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도 적지 않다는 점이다.
「개그콘서트」라는 TV 프로그램에 「나를 술푸게 하는 세상」이라는 코너가 있다. 이 코너는 술에 취해 경찰서로 들어온 두 남녀의 술주정을 통해 세태를 풍자한 개그다. “국가가 나에게 해준 게 뭐가 있나,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는 대사 하나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하루는 취객이 경찰관에게 “김태희 씨가 어느 대학 졸업했는지 아세요?”라고 물었다. 그러자 경찰관은 “당연히 알죠. 우리나라 최고의 1등 대학교, 서울대학교 아닙니까?”라고 말한다. 이 대답에 박성광씨는 뭐라고 대답했을까요?
실제로 어떤 사람은 우리나라에서 서울대를 제외한 연, 고대 역시 명문 대학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까지 하는 분이 계셨습니다-_-;;; 이렇게 명문대 위주의 학벌주의를 타파하기 위한 개그맨 박성광식의 해학적 해법과 제가 전하는 해법에 대해서는 다음편에서 전하도록 하겠습니다^^이와같이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심리학이 청춘에게 묻다>에는 많답니다^^*
도서출처: <심리학이 청춘에게 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