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98% 자기계발 필요성 느껴...
그러나 75% 대다수 자기계발 못해 자책
자기계발에 전혀 시간와 돈 투자 안해...
12월도 얼마 남지 않았다.
곧 SF영화에서나 다가올 듯 했던 2009년도가 다가온다.
최근 YTN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직장인들의 올해 소망1위가 '자기계발'이라고 한다.
그러나 정작 사람들의 실제 행동은 어떨까?
필자가 한 대기업의 의뢰를 받아 2006년도 9월에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98%의 사람들이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0명을 설문한 결과 단지 2명 정도가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을 정도다.
“왜 자기계발이 필요하다고 느끼는가”라는 질문에
64%의 사람들은 ‘자아실현을 위해서’ 자기계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다음으로 ‘남들에게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가 15%, ‘돈 더 많이 벌기 위해서’와 ‘성공하기 위해서’가 각각 7%씩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은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실제행동에 있어서는 자기계발에 충실하고 있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은 자기계발에 충실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무려75%의 사람들이 충실하지 못하다고 응답했기 때문이다.
“자기계발에 충실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64%의 응답자가 ‘시간 관리를 못해서’라고 응답했다. 이어서 ‘바쁜 업무 때문에’가 22%, ‘게을러서’가 9%를 차지했다.
“자기계발에 어려움을 겪는 원인”으로
단지 2%의 응답자만이 ‘재미가 없어서’라는 대답이 나왔다. 이로 봐서 다른 일과 달리 자기계발에 재미가 없는 것은 어느 정도 각오하고 있다는 뜻으로 비춰졌다.
실제 자기계발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로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가 65%,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가 18%를 차지했다. 이어서 15%의 사람들은 ‘방법을 몰라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계발이 필요한 분야”는 이라는 설문에
응답자의 절반인 50%가 ‘외국어’라고 대답했다. 이어서 직무분야 전문능력 14%, 컴퓨터 활용능력 10%, 기획력과 대인관계 역량이 각각8%로 나왔다. 외국어에 너무 치중한 느낌이 들었다. 좀 더 세분화된 자기계발이 필요하지 않을까하는 한다.
“어떤 방법으로 자기계발 하는가?”라는 질문에
29%의 응답자가 ‘온라인 교육, 세미나’라고 대답했다. ‘오프라인 교육, 세미나’는 22%밖에 나오질 않아서 그 만큼 시간 절약을 위해서 온라인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라고 응답한 사람들도 27%가 되었다. ‘온,오프라인의 모임을 통해서’가 13%로 나타났다.
사람들은 “자기계발에 얼마나 시간을 투자하고 있을까?”
98%의 사람들이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느꼈지만 실제로는 무려 44%의 사람들은 ‘거의 투자하는 시간이 없다’라고 응답했다. 이어서 ‘하루 시간 정도’가 29% ‘하루 30분 정도’가 16%로 나타났다.
“자기계발에 투자하는 비용은 얼마나 될까?”
이 설문에 무려 40%의 사람들이 거의 ‘한 푼도 쓰지 않는 것’으로 응답했다. 그만큼 공짜를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53%의 사람들은 ‘한 달에 10만원 이내’로 자기계발 비용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자기계발을 위해서 투자하는 내역”을 물어봤다.
41%의 응답자들은 ‘도서구입’으로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이어서 ‘mp3, 오디오, 동영상 강좌’ 교육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이 22%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 세미나 참가비’라고 응답한 사람들이 17%, ‘자격증 취득과정’으로 11% 순으로 나타났다.
어떻게 하면 자기계발을 조금 더 즐겁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덧글.
이 글을 읽고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 버튼을 꾸욱 누르시면 됩니다^^
로그인 없이 추천이 된답니다*^^꾸~욱 꾸~욱^^*
앞으로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쭈욱 계속됩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
'자기계발,교육,세미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거운 자기계발 방법 Best5 (10) | 2008.12.16 |
---|---|
공병호 박사가 블로그 하지 않는 이유 (10) | 2008.12.14 |
직장인을 위한 공병호 박사의 17가지 성공제언 (4) | 2008.12.13 |
강마에식 독불장군으로 살아남는 전략 “마이너리티 인플런스 전략" (7) | 2008.12.08 |
리더가 가져야 할 6가지 성공전략, 하스누마 (2) | 2008.12.01 |
잘못된 습관 어떻게 바로 잡을 수 있을까? (8) | 2008.10.13 |
절대긍정의 저자, 김성환 대표가 전하는 직장인의 5가지 성공법칙 (5) | 2008.09.22 |